본문 바로가기
책,글/심리

그릿-Angela Duckworth- 중요한부분 -지속적 동기부여, 전문가들의 연습방법, 좌절감을 느낄 때, 노력에 대한 칭찬, 아이들에게 가르쳐야 할 것, 특별활동, 분명한 비전

by onethingview 2020. 6. 16.

GRIT
-Angela Duckworth-


GRIT - 투지,기개

그릿

<책내용>
지속적 동기부여

1.멀리 목표를 두고 일하고,

이후의 삶을 적극적으로 준비하며 확고한 목표를 향해 노력하는 정도. 

2.단순한 변덕으로 과제를 포기하지 않음. 새로움 때문에 다름일을 시작하지 않으며 변화를 모색하지 않는 성향. 

3.의지력과 인내심의 정도.  한 번 결정한 사항을 조용히 밀고 나가는 결단력. 

4.장애물 앞에서 과업을 포기하지 않는 성향.
끈기, 집요함,완강함. 
 


전문가들의 연습방법
그들은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전체 기술 중에
아주 일부분에 집중한다. 
그들은 이미 잘하는 부분에 집중하기 보다 뚜렷한 약점을 개선하려고 노력한다. 
그들은 의도적으로 아직 도달하지 못한 
난도의 과제에 도전한다. 

바이올린의 거장인 로베르토 디아스는
이렇게 말했다. 
아킬레스건, 즉 문제 해결이 필요한 특정 연주 부분을 찾아내려고 노력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도전적 목표를 설정한 뒤에는
그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온전히 집중하고 
비상한 노력을 기울인다. 
흥미롭게도 많은 이들이 아무도 보지 않을 때 연습하기를 원한다. 

전문가들은 새로운 도전적 목표를 놓고 
전과정을 다시 시작한다. 
그렇게 하나씩 개선시킨 부분들이 모여서 전체적으로 숙달된 눈부신 기량이 나온다. 

 

좌절감을 느낄때
우리는 학생들에게 좌절감을 느낀다고 해서
그게 반드시 잘못된 길로 가고 있다는 
신호는 아니라는 점을 이해시켰다. 
그와 반대로 배워가는 도중에는 다들 더잘하고
싶다는 바람을 갖는다고 말했다. 

같은 시간과 장소에서 
계속 연습하다 보면 의식적으로
생각하며 시작했던 일을 점차 자동으로
하게 된다. 

우리의 감정과 행동을 유발하는 요인은 
객관적인 사건 자체가 아니라 주관적인
해석이라는 사실이다. 

상황을 개선시킬 방법을 계속 찾는다면
마침내 그것을 발견할 가능성이 높다. 

 

 

노력에 대한 칭찬

당신의 재능에 대해 칭찬받았는가 아니면
노력에 대해 칭찬 받았는가?

KIPP 교사 양성 과정에서는 타고난 재능보다
노력과 학습을 칭찬하라는 목표를 명시하고 있다. 

투지 넘치는 시각을 갖게 되면 근본적으로
사람은 실력이 차차 늘고 성장한다는 점을 인정하게 된다. 

포기하기 직전까지 갔지만 꿋꿋이 버텨냈고
결국에는 다 잘됐어요. 
거기에서 결코 잊지 못할 교훈을 얻었습니다. 
좌절과 실패를 맛보더라도 너무 예민하게 받아들이지 말라는 교훈이었죠. 

그럴 때는 한 걸음 물러나서 원인을 
분석하고 교훈을 얻어야 합니다. 
그리고 낙관적인 태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아이들에게 가르쳐야 할 것

아이들이 시작한 일을 끝마치도록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죠. 
그는 자녀들에게 자기가 배우겠다고 한 일은 
끝까지 마쳐야 한다는 점을 확실하게
가르쳤다. 

아이들은 자기 미래를 꽃피울 씨앗을 
내면에 지니고 있어요. 
우리가 믿어주면 관심을 드러내죠. 


내가 버틸 수 있는 힘은 할 수 있다는 믿음에서
나옵니다. 
그 믿음은 자부심에서 나오죠. 그리고 그 자부심은
우리의 삶 속에서 다른 사람들이 어떤 느낌을
심어주었는지에 달려 있습니다. 


할 이야기가 있는 사람이라면
그 이야기를 끄집어내어 완성시켜야 합니다. 


누군가의 인생을 변화시키는 사람이
꼭 부모여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들에게 관심을 기울이고 어떻게
지내는지 살펴준다면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그들의 삶에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살피고
그것을 겪어낼 수 있도록 도와주십시오. 
제가 직접 경험해봐서 아는데
그것이 커다란 차이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특별활동
특별활동이 그릿을 길러주는 요인인 동시에
그릿이 특별활동을 선택하게 하는 요인일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 
나는 우리가 성장하는 동안 어떤일에 끝까지
참여한 경험은 그릿을 요구하는 동시에
길러준다고 추측한다. 

젊은이들은 힘든 일을 끝까지 해내면서 
확실하게 교훈을 얻으며,
그 교훈은 다른 영역으로 옮겨간다. 
젊은이들은 다른사람들에게 배우기도 하고,
경험을 통해 자신의 우선순위가
무엇인지 점점 알아가면서 인성을 발달시켜
나갑니다. 

어떤 학생은 부모나 상담교사 등 다른사람의
제안으로 특별활동을 시작합니다. 

하지만 이런 경험들은 사람을 변화시키는 힘이
있어서 학생 스스로가 매우 중요한 교훈을
얻게 됩니다. 

그 뒤로는 부모나 상담교사도 상상하지
못할 정도로 열심히 하고 그활동에
기여하는 일이 자주 있습니다. 

 

 

분명한 비전 
내 경험상 일단 분명한 비전을 세우면 
절제력과 노력이 발휘되면서 
목적을 실현시켜줄 
비전을 유지하게 된다. 

 

 

마무리
우리가 매우 중시하는 한 가지는 마무리까지
힘차게 하자는 것입니다. 
시즌 끝까지 힘차게 경기를 뛴다. 
그리고 모든 훈련에서 끝까지 전력을 다한다. 

 


<나의 글>

 

성공한 사람들의 특징

이책에서는 성공하는 사람들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 기개를
가지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이사람들은 이룰때 까지 포기 하지 않고 끝까지 해서 반드시 이루어낸다.

어떤 것을 진행할때 실수를 하더라도 그건 주관적인 생각
일때가 많으니 교훈을 발견해서 다시 도전하라고 얘기한다.

무력감을 이 생기는 이유는 고통이 아니라 자신이 그것을 
통제할 수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특별활동


특별활동은 그릿을 키우는 데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처음에는 부모님이나 선생님의 권유로 시작하게 되는데
활동을 하면서 자신들이 자체적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하는
경험을 하게 되면 이후에 누가 시키지 않더라도 스스로 
큰 성과를 올리려고 하기도 하고 좋은 결과를 나타낸다.

어떤 일을 진행할때 아이들이 주위로부터 노력에 대한 칭찬이나
자신들에 대한 기대감을 느끼게  관심을 가져준다면 훗날에
큰 영향을 가져다 줄 수 있다고 말한다.

 

분명한 비전


분명하게 비전을 세우면 그것을 달성하기 위해 절제하게되고
그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계속노력하며 비전을 실현시킬때까지
계속유지하게 된다. 비전을 세우는 순간 시작하게 되는것이다.

그 비전을 향해 노력할때 내일은 오늘의 기량을 뛰어 넘을정도로
열심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끝까지 전력을 다하라고 말한다.
마무리 할때까지